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타자구성과 접촉공간의 변모에 대한 생태적 성찰
|
박혜영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추방된 이태원의 기억: 다큐멘터리 <이태원>과 소설 『단순한 진심』을 중심으로
|
배주연 |
여성학논집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북한 이탈여성의 ‘표준어’ 수행과 젠더화된 국가의 성원되기
|
백미록 |
여성학논집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생태여성주의 미술의 두 경향
|
박윤조 |
여성학논집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블록체인이 적용된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: 기술수용모델(TAM)을 중심으로
|
한영주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젠더 관점에서 본 팟캐스트 공론장의 특성 : ‘N번방 사건’에 대한 〈듣똑라〉와 〈매불쇼〉의 담화 비교분석
|
김수정,박기령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글로컬 콘텐츠에 재현된 여성 비교 : 영화 〈수상한 그녀〉와 〈다시 또 스물〉을 중심으로
|
아리야타나완 추띠마, 이진아, 김다인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한국 문학장에서 ‘정치적 올바름’은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가? : 〈82년생 김지영〉 논쟁을 중심으로
|
한송희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샘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한계
|
박소정,김지윤,장시연,채태준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한국 초기 퀴어 독립영화의 지향점과 쟁점들: 감독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
|
박지훈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팬덤에 의한 지하철 옥외광고의 재맥락화: ‘n번방 규탄 지하철 광고’를 중심으로
|
장서홍,김세익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팔로워 지각 효과에 관한 연구: 코어 팔로워 규모 지각에 따른 동조성과 인플루언서 이미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
|
남연주,김용호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온택트를 통한 뮤지컬 관람 연구: 뮤지컬 〈모차르트!〉 온라인 관객을 중심으로
|
강주영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재조명: 암 환자들의 유튜브 투병 브이로그를 중심으로
|
이해수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코로나19 관련 CNN 뉴스 영상분석: ‘타자’의 질병에서 ‘우리’의 질병으로
|
이종수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라이선스 뮤지컬 변용의 맥락과 그 의미 : 뮤지컬 〈삼총사〉를 중심으로
|
오현주,하효숙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1990년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와 문학 비평의 접점: 조한혜정의 『글 읽기와 삶 읽기』를 읽고
|
김민지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인종’과 ‘젠더’, 그 경계 없는 인류를 위하여 : 염운옥(2019), 『낙인찍힌 몸: 흑인부터 난민까지, 인종화된 몸의 역사』, 돌베개
|
홍양희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이리가레의 「장소, 인터벌」 읽기
|
김성환 |
한국여성철학 |
제34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의 불안한 결속: ‘82년생 김지영’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
|
엄혜진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0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중앙아시아 고려인 연극 〈홍범도〉에 투영된 역사의식에 관한 연구
|
김남석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13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가정소설에 나타난 부정(不貞)의 전략적 의미: 〈정을선전〉을 중심으로
|
진건화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0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사회적 통념을 거스르는 결혼 배우자 선택을 반대하는 자들의 논리적 허구성: 『영화를 통해 본 결혼 반대의 사회사』
|
정민아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59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미국 북감리교 여성해외선교부와 이화학당 대학과
|
정혜중 |
여성학논집 |
36권 2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아이돌 팬 특권의식의 성차: 팬쉽, 관계 만족도, 관계유지의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
|
강지현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10, 20대 여성들의 ‘아름다움’의 네트워크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: - 뷰티콘텐츠문화를 중심으로
|
김애라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한국 아이돌,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?: 한국 아이돌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공 요인
|
이시림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2호 |
|
기술이 만드는 ‘새로운 세상’에서 여성은 어떻게 표상되는가?: 이동통신 광고에 나타난 여성 재현 변화
|
손승혜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4호 |
|
웹사이트 워마드의 ‘흉자’ 담론 분석: 굴절된 자기혐오라는 성공에의 동력
|
고은해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4호 |
|
“한국여성의 인권에 대해 알고 싶으면, 구글에서 ‘길거리’를 검색해 보라”: 알고리즘을 통해 ‘대중들’ 사이의 적대를 가시화하기
|
이지은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5권 1호 |
|
지식의 편향 구조와 혐오: 국내 위키 서비스 ‘여성혐오’ 논란을 중심으로
|
김수아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5권 1호 |
|
외모 비하・차별 개그의 폭력성과 성별성 및 제재의 한계
|
임인숙 |
한국여성학 |
35권 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탈코르셋’, 겟레디위드미(#getreadywithme) : 디지털경제의 대중화된 페미니즘
|
김애라 |
한국여성학 |
35권 3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우울한 여성’의 우울하지 않기 위한 선택: 신자유주의시대 젠더화된 자기관리 담론 분석
|
배성신 |
한국여성학 |
35권 4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 펑크 Women and Punk : 배드걸Bad-Girl과 불화(不和)
|
연희원 |
한국여성철학 |
32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헝거게임시리즈 속 젠더와 관련한 여주인공의 허구적 주체성 연구
|
김진옥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젠더와 정치참여 격차: 디지털 미디어의 동원 효과를 중심으로
|
민영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여전사로서의 젠더표상의 함의: 『헝거게임』과 『다이버전트』의 십대 여주인공 연구
|
김진옥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'상실’과 ‘훼손’의 문화 정치학: 식민지 조선의 ‘강간’죄 구성과 ‘수치심’
|
홍양희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조선시대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여성 교화의 양상과 의미
|
성민경 |
아시아여성연구 |
59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1950년대 여성담론의 소설적 구현 — 최정희의 「너와 나와의 청춘」을 중심으로
|
이병순 |
아시아여성연구 |
59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월북 이후 최승희의 민족 표상과 젠더 수행
|
이진아 |
아시아여성연구 |
59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감시사회에서 비가시화된 고통으로서의 프라이버시: 젠더 관점에서의 탐색
|
이희은 |
아시아여성연구 |
59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탈코르셋 운동은 어떻게 탈조선 담론을 만나게 되었는가 : <탈코일기>(2019), <B의 일기>(2021)를 중심으로
|
전경모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3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이이효재의 가족연구를 통해서 본 한국여성운동의 의미와 과제 : 호주제 폐지에서 낙태죄 폐지까지
|
김선혜 |
여성학논집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개인 성향과 일본에 대한 인식이 일본 불매운동 정보 이용에 미치는 영향: 미디어 뉴스와 SNS정보의 비교를 중심으로
|
전종우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17세기 조선판 마녀사냥 ‘신숙녀 옥사’의 실상 |
하여주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기후 위기 시대의 트러블과 함께 하기 ─ 공동생성과 촉수적 사고, 생태주의적 돌봄을 중심으로
|
정연보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데이터 시대 부정의(injustice)와 데이터 액티비즘 |
홍남희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정치화된 혐오 표현에 대한 비판: 제주 예멘 난민 사건을 중심으로 |
윤은주 |
한국여성철학 |
제37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글로벌 대중문화와 생존자의 이야기 : 해외출판 탈북 여성 수기의 식민적 시선과 젠더화된 서사
|
김성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연결된 잔혹성: 혐오와 재미 사이의 길고양이 학대와 ‘인터넷 놀이 문화’ 공모 범죄
|
이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친밀환상의 작동 방식: 팬플랫폼 ‘버블’ 이용자를 중심으로 |
이나은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종영 후 20년 된 드라마 〈전원일기〉재방송의 수용 연구 |
김은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신자유주의적 ‘역량강화’ 대학교육의 한계: 시대적 요구로서의 페미니즘 중심의 공공성 부재
|
나윤경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김학순 공개증언과 일본의 시민운동: 말하는 자와 듣는 자가 만들어낸 파장(波長)
|
이나영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‘그들’: 구소련권 여성 관련 유튜브 콘텐츠의 재현과 수용
|
김현진, 이은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3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문화공연활동을 통한 가정폭력 피해생존자의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|
신나래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디지털 공간에서의 쾌락과 위험: ‘섹트계’ 여성들의 성적 실천과 ‘위험관리’
|
김미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: 디지털 세계의 폭력적 젠더 질서 속에서 살아남기
|
이혜정, 김수아, 박진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페미-스토리텔러 임옥희의 『팬데믹 패닉 시대, 페미-스토리노믹스』 읽기 : 임옥희(2021), 『팬데믹 패닉 시대, 페미-스토리노믹스』, 서울: 여성문화이론연구소.
|
신주신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치유와 폭력의 조합: 애도되지 않은 장애의 몸 읽기 : 김은정(2022), 『치유라는 이름의 폭력(Curative Violence)』, 강진경 · 강진영(역), 서울: 후마니타스.
|
최은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인공지능과 젠더 테크놀로지: 이루다1.0 논란을 중심으로 |
손희정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디지털 페미니즘의 증폭: 트롤링 실천, 페미니스트 메세지의 밈화, 액티비즘의 게임화
|
정의솔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성공의 신화와 비난받는 여자들: 『위대한 개츠비』 다시 읽기 |
심진경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항쟁의 기억과 여성: <1987>, <택시운전사>, <화려한 휴가>의 젠더 정치학
|
홍소인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‘그들’: 구소련권 여성 관련 유튜브 콘텐츠의 재현과 수용
|
김현진, 이은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3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많이 읽은 뉴스 vs 오래 읽은 뉴스: PV(Page View), 체류시간, 그리고 기사의 품질
|
김창수, 김지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한국에서의 무성애 지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: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을 중심으로
|
조윤희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BL 웹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재현과 변화 |
김수아, 고윤경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다른 돌봄과 의존을 상상할 권리 : 김순남(2022), 『가족을 구성할 권리』, 파주: 오월의봄.
|
허윤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뷰티 콘텐츠를 소비하는 디지털 세대 여성의 미적 욕망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다 : 김애라(2022), 『디지털 심미안 : K-뷰티에서 찾은 디지털 세대의 미적 욕망』,
파주: 서해문집.
|
김미선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지역사회에서 여성경제리더의 성장과 다층적 역할: 광주 패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
|
김미선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낳을 권리로서의 재생산권에 대한 미디어 담론분석: ‘자발적 비혼모’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
|
류숙진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중국 명·청대 의례용 초상화에 나타난 사서인 여성상 연구 |
지민경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구비 설화 속 노구(老嫗)의 정체성과 사적 맥락 |
김국희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조선 후기 가정 화목의 이면과 여성 |
성민경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