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미니즘에서 ‘야망 담론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?: 인스타그램 ‘#야망전시’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|
공연화, 김수정 |
한국여성학 |
제40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제주4·3에 대한 대항적 담론 실천: 시사정치 유튜브 채널의 제주4·3 콘텐츠를 중심으로 |
이종명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미디어와 수용자 담론 실천의 불연속성 연구: 대학입시 담론을 중심으로 |
김은준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청년 세대 담론의 단일한 청년 모습 다각화하기: 성별, 정치성향, 계급과 학력을 통한 세대 담론 극복 |
이진철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언론보도에 나타난 미투운동의 정량 담론분석: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|
윤빛나리, 안세정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북한 여성 및 인권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론 고찰 |
권진아, 최설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: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|
추주희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폭력예방교육 내실화를 위한 제언 -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- |
김채윤, 김용화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20대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‘페미니즘’과 그 의미: 페미니스트-되기의 해방과 곤경을 중심으로 |
오혜진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인류세 시대 대중문화의 포스트휴먼화와 레퓨지아의 윤리: <이어스 앤 이어스>(BBC)와 <서던리치: 소멸의 땅> (2018)의 ‘인간-이후’ 형상 비교 |
손희정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공정 논란에 대한 여성주의적 응답의 모색: 리쾨르의 정의론 고찰 |
오정진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집필요강 외 |
편집부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능력주의는 여성을 임파워링하는가 ─ 일본의 여자력(女子力) 담론을 통해 본 능력주의와 페미니즘의 역동 |
지은숙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도나 해러웨이의 포스트휴먼 페미니즘과 난잡한 돌봄 공동체 |
이현재 |
한국여성철학 |
제37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인간의 불균형과 취약성에 대한 폴 리쾨르의 철학적 인간학 연구: 『의지의 철학2-1 : 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인간』을 중심으로 |
김세원 |
한국여성철학 |
제37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분배적 정의론의 한계 : 공정에 대한 관계론적 고찰 |
김애령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성의 존재론과 존재론적 성 : 버라드, 그로스, 주판치치의 경우 |
김남이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캐런 버라드의 행위적 실재주의에서 물질과 실재 |
이지선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조에의 계보학으로서 ‘이별의 공동체’와 정동 : 제인 진 카이젠의 〈이별의 공동체(2019)〉에 관하여 |
김은주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헤겔의 『안티고네』 독해 속에서 망각된 시원인 모계혈통 : 뤼스 이리가레의 헤겔 비판을 중심으로 |
용아영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의원여성할당제 선호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상호작용 효과 |
권수현, 윤채영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페미니즘 리부트’와 지역 여성운동: 전주시를 중심으로 |
김혜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피해’ 개념의 재배치 시대에 여성주의적 개입을 위한 시론 |
민가영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소년 위기(boy crisis) 및 알파걸(alpha girls) 담론에 나타난 백래시의 의미 지형 |
엄혜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학 개론서를 통해 본 ‘한국 여성학’ 지식 구성의 여정 |
엄혜진 |
페미니즘 연구 |
제23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학교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문제 ─ 가정폭력이 사라진 교육 |
김양지영 |
페미니즘 연구 |
제23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앤절라 데이비스의 『여성, 인종, 계급』 ─ 교차성 이론과 미국 여성사의 고전 |
박미선 |
페미니즘 연구 |
제23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신고전파경제학자의 성 몰인지성 : 알프레드 마셜과 메리 페일리 마셜의 삶과 경제학 |
홍태희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세계를 구축하는 페미니즘의 ‘자유’ : 린다 M. G. 제를리, 『페미니즘과 자유의 심연』, 조주현 역(2022), 서울: 박영사 |
김현미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아리스토텔레스의 최선의 국가의 인식론적 조건과 여성의 최선의 삶 |
장영란 |
한국여성철학 |
제40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돌봄의 권리이론: 다니엘 엥스터의 돌봄 책임 정당화에 대한 고찰 |
서원주 |
한국여성철학 |
제40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페미니즘의 투쟁: 사회적 재생산에 관한 끊임없는 이론적 모색 - 마리아로사 달라 코르따. 『페미니즘의 투쟁』. 이영주 · 김현지 역. 갈무리. 2020.
|
이현옥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집필요강 외
|
편집부 |
페미니즘 연구 |
제20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집필요강 외
|
편집부 |
페미니즘 연구 |
제20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집필요강 외
|
편집부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양성평등 담론 비판과 트랜스 페미니즘의 가시화, 그 쟁점과 과제 : 정희진 엮음, 『양성평등에 반대한다』 (교양인, 2017), 권김현영 엮음, 『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』 (교양인, 2018), 정희진 엮음, 『미투의 정치학』 (교양인, 2019)
|
정승화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이혼여성의 성장에 관한 자문화기술지
|
김정아,공미혜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『젠더와 문화』 편집규정 외
|
편집부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『젠더와 문화』 편집규정 외
|
편집부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내 뜻대로 삶 쓰기: 20대 여성의 4B 가치관 형성 과정 연구
|
강미선,김성희,정인혜 |
여성학논집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‘미투’ 운동의 매체 프레임과 변화에 관한 연구 :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사건 보도와 실재의 재구성
|
전가영,유세경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언론학 혐오 연구의 메타 분석: 2010년대 국내 신문방송학 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
|
홍성일,김민정,김수아,이동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논문 집필 요강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냉전과 일본군 ‘위안부’: 배봉기의 잊혀진 삶 그리고 주검을 둘러싼 경합
|
김현경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논문 집필 요강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논문 집필 요강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논문 집필 요강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논문 집필 요강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한국여성철학회 회칙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철학 |
제35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한국여성철학회 회칙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철학 |
제34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한국여성철학회 회칙 외
|
편집부 |
한국여성철학 |
제33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일제강점기 여권 개념과 유교가부장제론 전파에 내재된 국가주의: ‘문중’에서‘국가’로 섹슈얼리티 통제장치의 이양
|
김미영,조주영 |
한국여성철학 |
제35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사건의 세 가지 개념들:앎의 모델을 믿음의 모델로 전환시키기
|
김효영 |
한국여성철학 |
제35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고대 그리스 몸의 정치학과 화장
|
연희원 |
한국여성철학 |
제33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신라 여신문화 연구
|
김명숙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 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교차성 논의의 이론화 및 방법론적 쟁점: 사회학적 수용 및 유럽에서의 수용을 중심으로
|
홍찬숙 |
젠더와 문화 |
12권 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어디로 갈 것인가, 형제여?
|
손희정 |
젠더와 문화 |
12권 2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일제강점기 해외 한인여성들의 항일운동 연구현황과 과제
|
윤정란 |
여성학논집 |
36권 2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‘착한’ 기업의 ‘착한’ 상품을 ‘착하게’ 소비하기: 조선일보 기사에 나타난 ‘착한’의 의미와 활용방식 분석
|
천혜정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재생통치와 타자공간 생산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: 종로 게이 게토를 중심으로
|
남수정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페미니즘 정치학의 급진적 재구성: 한국 ‘TERF’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
|
이효민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국내 공공 방송⋅영상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해외사례 분석
|
정회경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딥페이크의 이미지 조작: 심층적 자동화에 따른 사실의 위기와 푼크툼의 생성
|
최순욱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언론학 혐오 연구의 메타 분석: 2010년대 국내 신문방송학 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
|
홍성일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5권 1호 |
|
지금 시대 고정희를 나누는 일, 이소희(2018),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 고정희의 삶과 문학, 국학자료원
|
정은귀 |
한국여성학 |
35권 1호 |
한국여성학회 |
대학 여성학 교양교육 연구에 나타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역사와 현재성
|
엄혜진 |
한국여성학 |
35권 3호 |
한국여성학회 |
다시 만난 세계, 새로운 민주주의를 위한 노래 - 오혜진(2019), '지극히 문학적인 취향', 오월의 봄
|
이문우 |
한국여성학 |
35권 4호 |
한국여성학회 |
돈의 흐름이 보여주는 힘, 19세기 양반 여성의 생활 일기로 복원한 조선후기 삶 - 김현숙(2018), 『조선의 여성, 가계부를 쓰다 -종부의 치산과 가계 경영』, 경성문화사
|
홍인숙 |
한국여성학 |
35권 4호 |
한국여성학회 |
변형의 시도 :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글쓰기 양식과 페미니스트 SF
|
김애령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은폐와 폭로-초연결성의 여성주의적 함축
|
신정원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상호문화적 대화에서 타자의 관점 취하기 : 여성에 관한 쟁점을 중심으로
|
현남숙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브라이도티와 들뢰즈의 물체적 주체 :스토아주의의 물질적 주관성에 기반한 고찰
|
경혜경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세네카의 운명과 덕의 훈련
|
장영란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인권의 역린, 여성의 정치적 권리 : 에티엔 발리바르의 ‘인권정치’에서 「인권선언문」에 대한 독해
|
이정은 |
한국여성철학 |
32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자기 배려 윤리의 논점에서 본 ‘분노’
|
김분선 |
한국여성철학 |
32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『내훈』의 사서오경 (재)인용 맥락을 통해 본 여성주체화의 양식
|
김세서리아 |
한국여성철학 |
32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변형의 시도 :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글쓰기 양식과 페미니스트 SF
|
김애령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1인칭 사유의 외부에서 윤리적 주체를 세울 수 있을까? :‘책임’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복수 주체들의 윤리학
|
김효영 |
한국여성철학 |
32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송영의 역사극 <申思任堂>의 친일극 논쟁 연구
|
김병길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포에 물 붓기 이야기’의 전승과 여성
|
박상란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펨버타이징에 대한 탐색적 고찰: 소비자 인식요인 및 광고효과 분석을 토대로
|
김지은 |
아시아여성연구 |
59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‘나는 차별하지 않는다’는 환상 김지혜(2019), 『선량한 차별주의자』, 창작과 비평사
|
박부영 |
한국여성학 |
35권 3호 |
한국여성학회 |
우리 헛된 노력의 기억 양현아 편역(2019), 『평등, 차이, 정의를 그리다-페미니즘 법이론』,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
|
오정진 |
한국여성학 |
35권 3호 |
한국여성학회 |
20-30대 여성들의 온라인 우울증 말하기와 페미니스트 내러티브 |
장윤원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집필요강 외 |
편집부 |
페미니즘연구 |
제21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의 심사숙고능력과 정치적 덕 |
장영란 |
한국여성철학 |
제36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차이의 철학을 통해 살펴본 페미니즘의 차이의 정치학에 관한 고찰: 아시아 여성운동을 중심으로
|
최형미 |
한국여성철학 |
제37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조선후기 유교 젠더 이데올로기의 심화와 역설: 양반 여성을 중심으로 |
하여주 |
젠더와 문화 |
제14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여성주의 분단연구의 확장을 위한 탐색 |
조영주 |
여성학논집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제주4·3에 대한 대항적 담론 실천: 시사정치 유튜브 채널의 제주4·3 콘텐츠를 중심으로
|
이종명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의원여성할당제 선호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상호작용 효과 |
권수현, 윤채영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페미니즘 리부트’와 지역 여성운동: 전주시를 중심으로 |
김혜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피해’ 개념의 재배치 시대에 여성주의적 개입을 위한 시론 |
민가영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능력주의는 여성을 임파워링하는가 ─ 일본의 여자력(女子力) 담론을 통해 본 능력주의와 페미니즘의 역동
|
지은숙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북한 여성 및 인권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론 고찰 |
권진아, 최설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도나 해러웨이의 포스트휴먼 페미니즘과 난잡한 돌봄 공동체 |
이현재 |
한국여성철학 |
제37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인간의 불균형과 취약성에 대한 폴 리쾨르의 철학적 인간학 연구: 『의지의 철학2-1 : 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인간』을 중심으로
|
김세원 |
한국여성철학 |
제37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미디어와 수용자 담론 실천의 불연속성 연구: 대학입시 담론을 중심으로 |
김은준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20대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‘페미니즘’과 그 의미: 페미니스트-되기의 해방과 곤경을 중심으로
|
오혜진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인류세 시대 대중문화의 포스트휴먼화와 레퓨지아의 윤리: <이어스 앤 이어스>(BBC)와 <서던리치: 소멸의 땅> (2018)의 ‘인간-이후’ 형상 비교
|
손희정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집필요강 외 |
편집부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청년 세대 담론의 단일한 청년 모습 다각화하기: 성별, 정치성향, 계급과 학력을 통한 세대 담론 극복
|
이진철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언론보도에 나타난 미투운동의 정량 담론분석: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
|
윤빛나리, 안세정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소년 위기(boy crisis) 및 알파걸(alpha girls) 담론에 나타난 백래시의 의미 지형
|
엄혜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분배적 정의론의 한계 : 공정에 대한 관계론적 고찰 |
김애령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성의 존재론과 존재론적 성 : 버라드, 그로스, 주판치치의 경우 |
김남이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캐런 버라드의 행위적 실재주의에서 물질과 실재 |
이지선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조에의 계보학으로서 ‘이별의 공동체’와 정동 : 제인 진 카이젠의 〈이별의 공동체(2019)〉에 관하여
|
김은주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헤겔의 『안티고네』 독해 속에서 망각된 시원인 모계혈통 : 뤼스 이리가레의 헤겔 비판을 중심으로
|
용아영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: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
|
추주희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폭력예방교육 내실화를 위한 제언 -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- |
김채윤, 김용화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공정 논란에 대한 여성주의적 응답의 모색: 리쾨르의 정의론 고찰 |
오정진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