퀴어 디비전과 안보의 정치: 한국사회의 성소수자 정치를 독해하는 하나의 틀 |
전원근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한국 공영방송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 등장한 여성취재원 분석: 16대, 21대 국회의원 선거 비교 분석 |
오해정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낙태와 아동학대 사이에서: 영아살해 처벌의 의미 변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, 2010-2022년 |
이재임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인도 달리트 여성운동 안에 나타난 교차성의 정치학: 텐드랄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|
최형미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여성정치에 대한 현장 경험 ─ 젠더 갈라치기 등 대선과정에서 나타난 여성정치의 현주소 |
이가현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기술매개 성폭력의 ‘실질적’ 피해와 그 의미 |
김애라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징병제 청원을 통해 본 시민자격과 병역 |
김엘리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대학의 성평등 증진을 위한 제도적 조건 연구 |
배유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같은 전략, 다른 결과? 스웨덴 성구매처벌법과 한국 여성운동 |
박정미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범죄 전담법인을 통해 본 성폭력 사건 해결의 ‘법시장화’ 분석 |
김보화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중앙행정기관 성별영향평가제도의 법령 개선효과 분석: 2012∼2018년 전문가 특정성별영향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|
김희경, 박현신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2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페미니스트 관점의 신제도주의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낙태죄 폐지의 숨은 정치 |
박동열, 김경희, 김현아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2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코로나19 위기와 재생산권 ─ 필수공공의료서비스로서 임신중지
|
김선혜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램지어교수 논문을 매개로 일본정부의 책임 다시 보기
|
강정숙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식민지의 독일여성들 - 젠더정치와 문화제국주의의 결합
|
정현백 |
페미니즘 연구 |
제20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‘시설사회’가 던지는 급진적 질문장애여성공감(엮음)(2020), 『시설사회: 시설화된 장소, 저항하는 몸들』, 서울: 와온.
|
황지성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국가와 “국제결혼 소비자 피해담론”의 제도화 작업
|
이소훈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국가가 초래한, 국가가 알지 못하는 위험: 친밀한 관계에서의 강압적 통제
|
허민숙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안태근 사건 판결의 두 해석학: 직권남용론 & 직무집행론
|
정대현 |
한국여성철학 |
제35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청년여성운동과 정치전략: 아고니즘 정치적 대안
|
조주현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59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연대를 위한 차이의 정치를 위하여: 『연대하는 페미니즘: 호주제 폐지부터 탈코르셋까지 함께 쓰는 우리의 이야기』
|
김민정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0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낙태죄 ‘폐지’를 말하는 이유 ─ 임신중단권 보장의 법적 쟁점과 방향
|
김정혜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정치진입의 성별화된 장벽들 ─ 20대 국회의원의 출마결정 요인과 성차
|
권수현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사립유치원 “비리”와 돌봄 공공성─ 회계투명성을 넘어
|
김수정·황정미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미투운동 이후 담론 전략들의 쟁투와 반성폭력운동의 과제 ─ ‘안희정 사건’의 재판 과정을 중심으로
|
김혜정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-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성·재생산권으로써 낙태권리를 위하여─ 낙태제도 변동의 쟁점과 방향
|
전윤정 |
페미니즘 연구 |
20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성역할태도-영유아돌봄태도의 군집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
|
이혜정·송다영 |
페미니즘 연구 |
20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중노년 여성주의 활동가의 리더십과 노인여성운동의 방향
|
이동옥 |
젠더와 문화 |
12권 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성별화된 조직의 결과물로서 법 집행: ‘피해자로서의 여성’과 경찰 성별직무분리의 효과
|
추지현 |
젠더와 문화 |
12권 2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‘강간죄’ 구성요건 개정 운동의 의미와 과제
|
이미경 |
여성학논집 |
36권 2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텍스트 마이닝 기반 여성과학기술인 이슈 및 정책 연구
|
윤빛나리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“우리는 더디지만 나아가고 있다” : ‘미투 운동(#MeToo)’ 이후 성평등 보도를 위한 한국 언론의 실천과 과제
|
장은미, 최이숙, 김세은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3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퀴어 디비전과 안보의 정치: 한국사회의 성소수자 정치를 독해하는 하나의 틀
|
전원근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기술매개 성폭력의 ‘실질적’ 피해와 그 의미 |
김애라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정치에 대한 현장 경험 ─ 젠더 갈라치기 등 대선과정에서 나타난 여성정치의 현주소
|
이가현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여성징병제 청원을 통해 본 시민자격과 병역 |
김엘리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대학의 성평등 증진을 위한 제도적 조건 연구 |
배유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같은 전략, 다른 결과? 스웨덴 성구매처벌법과 한국 여성운동 |
박정미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낙태와 아동학대 사이에서: 영아살해 처벌의 의미 변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, 2010-2022년
|
이재임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인도 달리트 여성운동 안에 나타난 교차성의 정치학: 텐드랄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
|
최형미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한국 공영방송 선거보도 사운드바이트에 등장한 여성취재원 분석: 16대, 21대 국회의원 선거 비교 분석
|
오해정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성범죄 전담법인을 통해 본 성폭력 사건 해결의 ‘법시장화’ 분석 |
김보화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