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벌의 시대, 페미니즘의 반격 : 김대현·김주희·남승현·노혜진·민가영·박정미·백소윤·유현미·장다혜·장원아·최별·황유나(2022), 『불처벌,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기획, 서울: 휴머니스트 |
추지현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들의 놀이터, 일상의 경험이 공유되는 새로운 방식: 팟캐스트 〈송은이&김숙 비밀보장〉을 중심으로 |
장은미, 허솔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?: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|
홍지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경력단절여성은 〈82년생 김지영〉을 어떻게 읽는가?: 경력단절을 경험한 유자녀 기혼여성의 해독을 중심으로 |
박지훈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3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완경기(完經期) 여성 경험 질적 탐구: 꿈을 중심으로 |
고성숙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중년기 여성의 진로전환: ‘사람을 돕는 직업군(Helping professions)’의 진로생애사 연구 |
김미령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여성의 난임시술 경험에 관한 고찰: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|
전혜상, 김동식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과학 지식의 분열과 21세기 페미니즘의 위치 : 『신비롭지 않은 여자들』 |
오윤호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일본군‘위안부’의 포스트 콜로니얼 (post-colonial) 경험: 서발턴(subaltern) 여성과 일상 속의 트라우마 |
신동규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경남일본군‘위안부’ 피해자지원활동가들의 기억과 구술을 통해 본 피해자들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 |
문경희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지역 거주 20대-30대 여성들의 페미니스트 인식과 실천: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|
김하영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반페미니즘 안정화 시대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─ 실천적 기의 구성과 ‘선한’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가르치기 |
나윤경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서구 페미니즘 문화의 버자이너 상징에 대한 연구 ─ 이리가레의 성적 차이 이론의 관점에서 |
김명숙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수많은 문을 통과하기: 19세기 대서양 세계의 여성사 ─ 권윤경, 최재인, 양희영, 노서경, 문수현, 황혜진, 『19세기 허스토리: 생존자의 노래, 개척자의 지도』, 마농지, 2022 |
장한닢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조선시대 여성 규훈서의 분노 감정 이해 : 『자경편』의 자기배려적 실천을 중심으로 |
김세서리아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초중등학교 성교육의 대안적 접근: 성적 시민권을 중심으로 |
남미자, 이희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스포츠 관중 폭력과 성불평등 : 안산 선수 온라인 괴롭힘 기사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|
이현서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6 · 25 전쟁기 여성의 참전과 그들의 전쟁 경험 |
김엘림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평등 단체교섭 강화를 위한 길 : 영국과 프랑스 비교를 중심으로 |
권혜원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박카스 아줌마’는 어디에나 있고, 어디에도 없다: 종로3가의 중 · 고령 성매매 네트워크 재구성 |
이용수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인공지능 윤리를 넘어: 위치지어진 주체로서의 개발자들과 페미니스트 인공지능의 가능성 |
이지은, 임소연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탈코르셋 이후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드럭스토어 경험: 정치적 소비주의 실천을 통한 페미니스트 되기 |
최예령, 배은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평등한 시간주권 개념을 위한 탐색적 연구: 2040여성의 노동환경을 중심으로 |
이소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팬데믹 시대, 그녀들은 왜 새벽에 일어났을까? : ‘514챌린지’ 참여 3040 세대 여성들의 시간 만들기와 그 의미 |
최이숙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경남지역 일본군‘위안부’ 운동과 기억의 연대 |
김명희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기지촌 미군 위안부 국가배상 소송을 돌아보며 |
하주희 |
페미니즘 연구 |
제23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‘여성 연대’의 매개로서의 ‘고정희’ : 김승희 · 김진희 · 김문주 · 김난희 · 윤인선 · 문혜원 · 이소희 · 양경언 · 이은영 · 장서란 · 이경수 · 김정은 · 정혜진 · 박주영 · 정은귀 · 김양선 · 채연숙 · 최가은(2022), 『페미니즘 리부트 시대, 다시, 고정희』, 서울: 소명출판사 |
조연정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한국 여성 인류학자가 아시아 여성들과 함께 선을 넘다 : 지은숙 · 노고운 · 임안나 · 김현미 · 채현정 · 김희경 · 최서연 · 김민정 · 구기연 · 조수미 · 오은정(2023), 『오늘을 넘는 아시아 여성: 페미니즘이 묻고 인류학이 답하다』, 서울: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|
김도혜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안전’한 페미니즘이라는 기대의 역설: 페미니스트 ‘번아웃’ |
이정연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산업의 연장으로서의 리얼돌 산업과 사용자 커뮤니티의 남성동성사회성 |
한준희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지역여성운동의 역사 속에 나타난 젠더와 로컬리티: 전주지역 공부공동체 〈여성다시읽기〉의 매체비평 문화운동과 ‘영페미니즘’ |
김혜경 |
한국여성학 |
제39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의 윤리적 고투 과정으로서 임신중지: 한국 가톨릭 신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|
강석주 |
한국여성학 |
제40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“성차별은 없습니다만···” : IT 조직의 젠더 편향은 어떻게 지속되는가? |
권현지, 황세원, 노가빈 |
한국여성학 |
제40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성매매는 성착취’ 구호에 대한 여성주의 비판 |
김주희, 황유나 |
한국여성학 |
제40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젠더기반폭력으로서 친밀 관계 폭력의 특성과 쟁점: 현장의 지원 경험을 중심으로 |
김효정 |
한국여성학 |
제40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온라인 공간에서의 반페미니즘 담론에 관한 연구: GS25 남성혐오 논란과 음모론 |
구지혜, 김민철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2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지방대의 페미니즘 교육 현실에 관한 비판적 성찰 - C대학교의 젠더관련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|
김지영, 추주희, 신지원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2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현재의 존재론: 유토피아라는 욕망과 페미니즘 SF의 현재성 |
곽은희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2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좁은 세계에서 살아남기: 대학 내 성폭력의 기회구조와 젠더화된 조직 |
유현미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3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의 장기적 변화와 영향요인
|
노혜진,김윤민 |
페미니즘 연구 |
제20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코로나 시대, '마스크 시위'와 페미니즘의 얼굴성을 질문하다
|
김주희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서문: 젠더의 시간, 몸의 시간
|
전해정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여성이 신용을 만났을 때 : 김주희.『레이디 크레딧: 성매매, 금융의 얼굴을 하다』(현실문화, 2020)
|
박정미 |
페미니즘 연구 |
제20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기업 내 여성 대표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요인 탐색 ─ 여성인재 파이프라인의 성공적 가동 요인을 중심으로
|
김지은,윤정구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지방자치단체 남성 공무원의 젠더정책 수행 경험 연구 - 관료제 노동규범과 젠더 갈등을 중심으로
|
백미록 |
페미니즘 연구 |
제20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급진성에 대한 질문 ─ 포스트 메갈리안 시대 새로운 여성주체와 한국 여성운동의 계보
|
오김숙이 |
페미니즘 연구 |
제21권 제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오래된 모성의 급진적 재구성: 엄마들의 당사자 정치 : 권희정, 『미혼모의 탄생: 추방된 어머니의 역사』, (안토니아스, 2019), 정치하는엄마들, 『정치하는 엄마가 이긴다: 모성 신화를 거부한 엄마들』, (생각하는힘, 2018)
|
이진옥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은유로서의‘종3(鐘三)’, 이동하는‘박카스아줌마’: 서울 종로 3가 성매매 공간의 정치학
|
이희영 |
젠더와 문화 |
제13권 제1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여성혐오적 제도로서 포르노그라피 소비 문화
|
홍남희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지식의 편향 구조와 혐오: 국내 위키 서비스 ‘여성혐오’ 논란을 중심으로
|
김수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5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“성평등의식이 차이를 만듭니다”: 온라인상의 성차별 혐오표현 사례별 시민인식조사
|
김민정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본질주의를 거부하며 산발하는 질문들 : 오혜진 · 박차민정 · 이화진 · 정은영 · 김대현 · 한채윤 · 허윤 · 이승희 · 손희정 · 안소현 · 김효진 · 김애라 · 심혜경 · 조혜영(2020), 『원본 없는 판타지 :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한국 현대문화사』, 후마니타스
|
조서연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정치권력과 젠더: ‘여성’ 대통령 박근혜 이미지를 중심으로
|
장은미,이소현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중국의 계획생육 초창기 여성의 자기결정권 담론의 형성: 1950년대 후반 『중국부녀(中國婦女)』의 논의를 중심으로
|
장수지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주의 관점에서 대안적 노인여성 공동체에 관한 연구: 사회참여와 노인돌봄을 중심으로
|
이동옥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질적 연구
|
이혜정,송다영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여성연구자, 삶을 잇다: 과정으로서의 에스노그라피 : 엄은희·구기연 엮음(2020), 『여성 연구자, 선을 넘다: 지구를 누빈 현장연구 전문가 12인의 열정과 공감의 연구 기록』, 채현정·임안나·최영래·장정아·구기연·김희경·육수현·노고운·지은숙·엄은희·정이나·홍문숙, 눌민
|
오은정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착취를 통한 수익 창출 대중화 시대의 개별화된 성매매 알선 방식 연구
|
민가영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『페미니스트 라이프스타일』: 온전한 나로 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 - 김현미(2021), 『페미니스트 라이프스타일: 내 삶과 세상을 바꾸는 페미니즘』, 서울: 반비 -
|
이현옥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정동 연구에서 젠더·어펙트 연구로 : 동아대학교 젠더ㆍ어펙트연구소(2020), 『약속과 예측: 연결성과 인문의 미래』, 부산: 산지니
|
박현선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‘남자로서의 당연한 삶은 없다’: 20-30대 남성들의 ‘성찰적 개인화’와 새로운 관계적 삶의 가능성을 중심으로
|
김순남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혐오정동과 분단된 마음 정치학
|
김엘리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우리 사회가 도달한 세 가지 열쇠말 이미경 · 장다혜 · 정대현 · 김선희 · 김보화 · 김수아 · 추지현(2021), 『미투가 있다/잇다 : 끝나지 않는 변화의 연대』, 서울: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.
|
김혜정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매매 문제를 ‘지불된 성학대’의 문제로 읽어야 하는 이유 : 레이첼 모랜(2019), 『페이드 포(PAID FOR)』, 안서진(역), 안홍사
|
황경란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공교육의 시장화와 ‘성평등’: 가해자/피해자, 정상군/관심군, 그리고 수컷/암컷 이분법에 기반한 시민성 개발
|
엄혜진,김서화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별화된 만성통증의 서사: 사회적 낙인과 서사전략을 중심으로
|
김향수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대중적 페미니즘의 급진화를 위하여 : 권김현영(2020), 『늘 그랬듯이 길을 찾아낼 것이다』, 휴머니스트
|
김주희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기본계획 평가와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
|
송다영,백경흔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20~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
|
김엘리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돌봄민주주의: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넘어
|
김희강 |
한국여성학 |
제36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『자기록』의 유가경전 언어 인용 양상을 통해 본 조선여성의 지식
|
김세서리아 |
한국여성철학 |
제33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D. 해러웨이의 다종적 생태정치: ‘함께-되기’와 ‘응답-능력’을 중심으로
|
현남숙 |
한국여성철학 |
제35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‘차이’를 보는 관점의 차이: 교차성 이론과 탈근대 페미니즘 비교 및 그를 통해 도출되는 이론적 문제
|
홍찬숙 |
한국여성철학 |
제34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‘페미니즘 리부트’ 이후 대학 내 ‘성(性)’ 강의 지형 탐색
|
김민정 |
한국여성철학 |
제33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현장(location)의 정치와 페미니즘 주체화 :정동체(affect-capacity)로서 신체와 지리-신체(geo-body)적 공간을 중심으로
|
김은주 |
한국여성철학 |
제33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여성인력개발센터 운영 효율성 분석
|
황다솔,이영민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0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‘여자’가 ‘보호’를 만났을 때: 요보호여자시설, 기록과 증언
|
박정미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0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Ethos 탈피는 가능한가: 『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』
|
김지민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59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학교 성평등교육의 현실과 효과 ─ 젠더 규범의 재/생산, ‘위험한’ 성평등교육
|
엄혜진·신그리나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신문의 동성애 담론 분석 ─ 2017년 대선 기간을 중심으로
|
한희정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성폭력 상담일지를 통해 본 2018년 한국 미투운동의 의미
|
김보화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-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일본군‘위안부’ 문제의 강제동원과 성노예 ─ 공창제 정쟁과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
|
박정애 |
페미니즘 연구 |
19권-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디지털 거주지(digital dwelling)와 성폭력─ ‘카카오톡 단체 채팅방 성희롱 사건’을 다시 보기
|
윤보라 |
페미니즘 연구 |
20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정보통신기술(ICT)매개 친밀한 파트너에 대한 폭력
|
변신원 |
페미니즘 연구 |
20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‘투기부인’이라는 허수아비 정치: 두 편의 사적 다큐멘터리 분석을 중심으로
|
김주희 |
젠더와 문화 |
12권 1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성폭력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: 전 OO지사 사건의 판결문에 적시된 바를 중심으로
|
정도희 |
젠더와 문화 |
12권 2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‘남성’ 섹슈얼리티 신화의 서사적 계보 탐색
|
김영희 |
젠더와 문화 |
12권 2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혐오가 된 ‘충분한 근거가 있는’ 불안: 난민과 여성의 공포 인정 논의를 중심으로
|
오혜민 |
젠더와 문화 |
12권 2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성매매 알선·후기 사이트: 변화하는 성착취 유비쿼터스
|
이나영 |
젠더와 문화 |
12권 2호 |
계명대학교 여성연구소 |
성범죄재판에서 ‘피해자다움’이란 있는가?: 좁은 의미의 피해자다움의 논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
|
김선희 |
여성학논집 |
36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남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'성폭력 가해자의 아내' 발화의 효과
|
남승현 |
여성학논집 |
36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페미니즘‘들’: 변화, 위해, 소통의 경험들
|
추지현 |
여성학논집 |
36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성매매 운영 대중화에 따른 개별화, 후기 게시판 시스템에 대한 연구: 인터넷 연계형 성매매를 중심으로
|
민가영 |
여성학논집 |
36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대한가족계획협회의 초기 임신중절로서의 월경조절술(Menstrual Regulation) 제공에 대한 연구(1974-1990) : 국가의 위법적 재생산 정책에 대한 소고
|
지승경 |
여성학논집 |
36권 1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종교여성학의 최근 흐름과 한국 그리스도교 여성 연구
|
양혜원 |
여성학논집 |
36권 2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한국 가톨릭 교회와 여성 :수동성과 순종을 가르치다
|
유정원 |
여성학논집 |
36권 2호 |
한국여성연구원 |
미투 운동(#Metoo) 보도를 통해 본 한국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사 조직 문화: 여성기자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
|
김세은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온라인 피해 경험을 통해 본 성적 대상화와 온라인 성폭력 문제
|
김수아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국가 페미니즘, 여성가족부, 여성혐오
|
정사강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20대 중국인들의 자궁경부암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? : 자기효능감, 공포감의 변인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
|
마샤오통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2호 |
|
트위터에 나타난 미투(#Me Too)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: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
|
이종임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2호 |
|
누구의 목소리를 어떻게 전하였는가?: 인터뷰 기사를 통해 본 미투 운동 초기 TV 보도의 양상
|
최이숙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2호 |
|
여성의 가슴은 어떻게 소비되어 왔는가?: 여성잡지 브래지어 광고 분석
|
박고은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뉴스 언어의 선정성과 언론의 상업성: ‘김학의 성접대 사건’ 보도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
|
이완수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동성애적 정체성 형성의 퀴어이론적 분석: 노년 게이 남성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
|
임동현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4권 3호 |
|
BL장르 세계관 분석을 통한 가상적 섹슈얼리티 생산 가능성 연구: 알파 / 오메가 섹슈얼리티의 페미니즘적 해석을 중심으로
|
장민지 |
미디어, 젠더 & 문화 |
35권 1호 |
|
성매매를 통한 친밀함의 모방: 성매매와 성매매 아닌 것의 경계를 허무는 착취
|
민가영 |
한국여성학 |
35권 1호 |
한국여성학회 |
경제에 미친 젠더의 영향 - 세계 종교의 젠더 인식을 중심으로
|
홍태희 |
한국여성학 |
35권 1호 |
한국여성학회 |
재생산의 정치적 지평을 확장하기- 성과재생산포럼 기획(2018), 배틀그라운드 : 낙태죄를 둘러싼 성과 재생산의 정치, 후마니타스
|
조은주 |
한국여성학 |
35권 1호 |
한국여성학회 |
반격의 “양성평등”에서 “(양)성평등”의 재정립으로
|
유정미 |
한국여성학 |
35권 2호 |
한국여성학회 |
페미니즘의 퀴어정동정치를 향하여: 독해실천으로서의 퀴어정동이론
|
허성원 |
한국여성학 |
35권 2호 |
한국여성학회 |
인종과 젠더: 범아시아적, 범태평양적 비평을 향하여 다카시 후지타니(2019), 『총력전 제국의 인종주의 : 제2차 세계대전기 식민지 조선인과 일본계 미국인』, 이경훈 옮김, 푸른역사(Takashi Fujitani(2011), Race For Empire: Koreans as Japanese and Japanese as Americans during World War II, London, England: University of California Pre
|
김은정 |
한국여성학 |
35권 2호 |
한국여성학회 |
보통의 강간: 폭행·협박 없는 성폭력 - 상담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-
|
허민숙 |
한국여성학 |
35권 4호 |
한국여성학회 |
제 4물결로서 온라인-페미니즘 : 동시대 페미니즘의 정치와 기술
|
김은주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서평 『혐오 미러링-여성주의 전략으로 가능한가?』 :영영 페미니스트에게 보내는 올드 페미니스트의 애정 어린 서안
|
김은주 |
한국여성철학 |
31권 |
|
월경과 몸의 혐오에 대한 도전 - 다큐멘터리 <피의 연대기> 분석을 중심으로
|
정연보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인도네시아 여성운동, 거르와니(Gerwani, 1950-1965) 안에 나타난 교차성의 정치학
|
최형미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성조숙 ‘문제’의 탄생: 1960-70년대 ‘성별화된 성 관리 체제’의 형성
|
이희영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1960년대 일본의 전쟁기억/주체/‘위안부’-‘위안부’ 언설과 영화표상-
|
최은수 |
아시아여성연구 |
58권 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일본군 ‘위안부’에 대한 페미니즘과 내셔널리즘의 역학관계 — 트랜스내셔널 페미니즘의 구축과 한일 여성연대 가능성
|
이채원 |
아시아여성연구 |
59권 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프로아나(proana): 몸 정치성의 교란
|
류지현, 조윤희, 원용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6권 제4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불법촬영 탐지기술의 다면적 구성: 불법촬영기기 탐지기는 어떻게 범죄예방 도구로 살아남았는가?
|
고병진 |
한국여성학 |
제37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왜 이성애자 여성은 남성 동성애 콘텐츠를 소비하는가?: 중국 여성 수용자의 사례를 중심으로
|
왕연 , 김천웅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0권 제3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여성들의 놀이터, 일상의 경험이 공유되는 새로운 방식: 팟캐스트 〈송은이&김숙 비밀보장〉을 중심으로
|
장은미, 허솔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1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초중등학교 성교육의 대안적 접근: 성적 시민권을 중심으로 |
남미자, 이희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1호 |
한국여성학회 |
완경기(完經期) 여성 경험 질적 탐구: 꿈을 중심으로 |
고성숙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중년기 여성의 진로전환: ‘사람을 돕는 직업군(Helping professions)’의 진로생애사 연구
|
김미령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여성의 난임시술 경험에 관한 고찰: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|
전혜상, 김동식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1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
스포츠 관중 폭력과 성불평등 : 안산 선수 온라인 괴롭힘 기사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
|
이현서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6 · 25 전쟁기 여성의 참전과 그들의 전쟁 경험 |
김엘림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평등 단체교섭 강화를 위한 길 : 영국과 프랑스 비교를 중심으로 |
권혜원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2호 |
한국여성학회 |
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?: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
|
홍지아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2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‘박카스 아줌마’는 어디에나 있고, 어디에도 없다: 종로3가의 중 · 고령 성매매 네트워크 재구성
|
이용수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반페미니즘 안정화 시대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─ 실천적 기의 구성과 ‘선한’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가르치기
|
나윤경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서구 페미니즘 문화의 버자이너 상징에 대한 연구 ─ 이리가레의 성적 차이 이론의 관점에서
|
김명숙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수많은 문을 통과하기: 19세기 대서양 세계의 여성사 ─ 권윤경, 최재인, 양희영, 노서경, 문수현, 황혜진, 『19세기 허스토리: 생존자의 노래, 개척자의 지도』, 마농지, 2022
|
장한닢 |
페미니즘연구 |
제22권 제2호 |
한국여성연구소 |
인공지능 윤리를 넘어: 위치지어진 주체로서의 개발자들과 페미니스트 인공지능의 가능성
|
이지은, 임소연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3호 |
한국여성학회 |
일본군‘위안부’의 포스트 콜로니얼 (post-colonial) 경험: 서발턴(subaltern) 여성과 일상 속의 트라우마
|
신동규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경남일본군‘위안부’ 피해자지원활동가들의 기억과 구술을 통해 본 피해자들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
|
문경희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지역 거주 20대-30대 여성들의 페미니스트 인식과 실천: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
|
김하영 |
젠더와 문화 |
제15권 제2호 |
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|
경력단절여성은 〈82년생 김지영〉을 어떻게 읽는가?: 경력단절을 경험한 유자녀 기혼여성의 해독을 중심으로
|
박지훈 |
미디어,젠더&문화 |
제37권 제3호 |
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|
탈코르셋 이후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드럭스토어 경험: 정치적 소비주의 실천을 통한 페미니스트 되기
|
최예령, 배은경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성평등한 시간주권 개념을 위한 탐색적 연구: 2040여성의 노동환경을 중심으로
|
이소진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팬데믹 시대, 그녀들은 왜 새벽에 일어났을까? : ‘514챌린지’ 참여 3040 세대 여성들의 시간 만들기와 그 의미
|
최이숙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경남지역 일본군‘위안부’ 운동과 기억의 연대 |
김명희 |
한국여성학 |
제38권 제4호 |
한국여성학회 |
조선시대 여성 규훈서의 분노 감정 이해 : 『자경편』의 자기배려적 실천을 중심으로
|
김세서리아 |
한국여성철학 |
제38권 |
한국여성철학회 |
과학 지식의 분열과 21세기 페미니즘의 위치 : 『신비롭지 않은 여자들』
|
오윤호 |
아시아여성연구 |
제61권 제2호 |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|